두부조림 만들기 양념장 레시피, 물 없이 쫀득하게

오늘 뭐 먹지가 가장 많이 하게 되는 고민이죠.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을 때 찾아보는 요리 유튜브 중 하나가 딸을 위한 레시피라는 채널입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두부조림을 만들어 볼건데요. 이 두부조림은 물 없는 양념장이 포인트로 식구들이 정말 좋아해서 자주 해 먹는 레시피입니다.


물 없이 쫀득하게 만드는 양념장 레시피로 만든 두부 조림입니다.


두부조림 재료

두부 1모(300~500g),식용유 2큰술(Tbsp), 들기름 1큰술(Tbsp)
양념장: 진/양조간장 3큰술(Tbsp), 참치액 1큰술(Tbsp), 백설탕 1큰술(Tbsp), 고춧가루 1큰술(Tbsp), 다진마늘 1큰술(Tbsp), 다진생강 1작은술(tsp),양파 50g, 대파 30g, 쪽파 조금, 홍고추 조금

출처: 딸을 위한 레시피


두부조림 만들기 양념장 레시피

레시피대로 한다 해도 구비된 재료와 양에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약간은 변형이 되기 마련입니다. 제가 오늘 준비한 두부는 국산콩으로 만든 손두부 600g이기 때문에 양념이 더 필요했습니다.



농협 하나로 마트에서 구매한 손두부 600g이고 일반 두부보다 수분기가 적고 더 단단하기 때문에 만들었을 때도 쫀득하기 보다는 단단한 식감입니다. 이전에 풀무원 부침용 두부로 만들었던 것이 더 쫀득했습니다. 개인 호불호의 차이겠지만 저는 이 묵직하고 단단한 식감도 정말 맛있었습니다.

양념은 계량 스푼이 없는 관계로 밥 숟가락으로 했습니다. 진간장 7개, 참치액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멸치액젓 1개 반, 마스코바도 설탕 1개, 고춧가루 1개, 다진마늘 1개, 풀무원 생강가루 톡톡톡 뿌림, 양파 반개, 대파 반개를 사용했습니다.

나머지 재료의 양은 거의 그대로 넣었고 간장과 액젓을 좀 더 넣어서 간을 조절했습니다. 달고 맵게 먹지 않는 편이라 이렇게 했을 때 간이 저에게는 적당했습니다.

  • 두부를 잘라서 물기를 제거한 후 후라이팬에 식용유를 적당히 두르고 두부를 앞뒤로 노릇하게 구워 줍니다.
  • 저는 소금을 아주 약간 뿌려가면서 구웠습니다. 왠지 원 재료에 간이 베이면 맛있을 것 같아서입니다.
  • 다 구워질 무렵 들기름 한 스푼을 전체적으로 뿌려서 고소함과 들기름의 풍미를 더해줍니다.
  • 만들어 놓은 양념장을 펼쳐서 얹어주는데 1/3 정도를 남기고 뒤집어서 한번 더 얹어줍니다.
  • 양념이 익으면 양파에서 수분이 나와 약간 촉촉해지면서 두부에 전체적으로 어울어집니다.
  • 마지막으로 참깨를 뿌려줍니다.

이 두부조림 레시피는 양념장에 물을 넣지 않는 점과 생강을 추가하는 것이 특징인데 두부이지만 닭갈비를 먹는 느낌이 들고 개인적으로는 손두부의 단단한 식감도 좋아하지만 레시피 본연의 맛을 보려면 일반 부침용 두부로 쫀득한 식감을 살려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