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조건 정부기여금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데, 월 70만원 한도로 5년간 자유롭게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의 자금을 모을 수 있는 것으로 소개됩니다. 이에는 정부기여금(최대 월 24,000원)과 비과세 혜택(15.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정부기여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가입 대상은 연 소득이 7,500만 원 이하만19∼34세 청년층으로, 가구 소득은 중위 소득의 180%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해당 상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 소득이 6,000만 원 초과 ~ 7,500만 원 이하인 청년은 정부의 기여금은 받지 못하지만, 은행 금리의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5년간 월 70만원씩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아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계좌로, 청년들의 금융적 자립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가구원 수에 따른 2024년 중위소득 180%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인가구: 4,011,201원
2인가구: 6,628,696원
3인가구: 8,486,383원
4인가구: 10,313,843원
5인가구: 12,052,323원
6인가구: 13,713,064원


청년도약계좌 안내

  • 대상: 19~34세 청년
  • 월 적금 한도: 70만원
  • 목표: 5년 후 최대 5,000만원 마련
  • 목돈 마련 난이도: 소득 우대금리 요건으로 까다로움
  • 소득 우대금리: 연간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적용 (은행 별 0.5%포인트 우대)
  • 가구 소득 제한: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 2022년 기준으로 계산하면 3인 가구는 월 가구 소득이 755만 원, 4인 가구는 921만 원을 넘지 않아야 한다.
  • 가입 신청: 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 가능
  • 가입 가능 은행: 2023년 6월 15일부터 농협·신한·우리·하나·기업·국민·부산·광주·전북·경남·대구은행 등11개 은행 (2024년 SC제일은행 추가 예정)
  • 가입 절차: 영업시간 내 은행 앱 또는 대면 방문 신청 가능
  • 대면 신청 가능 은행: 하나·우리은행
  • 비대면만 가능 은행: 신한·국민·농협은행


정부기여금

  • 소득에 따른 정부의 기여금 매칭 비율과 매달 적금으로 받을 수 있는 기여금을 나타내는 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총 126만원부터 144만원까지 지급됩니다.

연간 총소득 기준기여금 매칭 비율월 적금액최대 월 기여금
2,400만원 이하6.0%40만원2,400원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4.6%50만원2,300원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3.7%60만원2,200원
4,800만원 초과 6,000만원 이하3.0%70만원2,100원
6,000만원 초과 7,500만원 이하–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음)

이렇게 소득에 따른 기여금 매칭 비율과 매달 적금으로 받을 수 있는 최대 기여금을 요약한 표입니다. 높은 소득층일수록 매칭 비율이 낮아집니다.

  • 총소득기준에 따라 월 70만원씩 납부했을 경우 정부기여금과 총 수령액, 혜택금액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총소득 기준납입액(월70만원)정부기여금납입금액 이자기여금 이자총 수령액혜택 금액일반 적금 비교
2,400만원이하4,200만원144만원640만원16만원5,000만원800만원8.86%
3,600만원이하4,200만원138만원587만원15만원4,938만원738만원8.19%
4,800만원이하4,200만원132만원587만원14만원4,931만원731만원8.12%
6,000만원이하4,200만원126만원587만원13만원4,924만원724만원8.05%
7,500만원이하4,200만원587만원4,787만원587만원6.50%

  • 소득에 따라 최대 효과를 보는 경우의 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총소득 기준월 납입액총 납입액총 정부기여금납입금액 이자기여금 이자총 수령액혜택 금액
2,400만원 이하40만원2,400만원144만원366만원15만원2,925만원525만원
3,600만원 이하50만원3,000만원138만원419만원15만원3,572만원572만원
4,800만원 이하60만원3,600만원132만원503만원14만원4,249만원649만원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

2024년 2월 만기가 도래하는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들은 만기수령액인 약 1300만원을 ‘청년희망적금’에 일시 납입하는 경우, 약 18개월치 납입금을 인정해 줍니다. 그 후 19개월차부터 60개월(5년 만기)까지 매달 70만원을 납입하면 만기금에 대해 263만원의 이자와 144만원의 지원금 등 총 407만원의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과 청년도약계좌의 상품약관 개정 등을 추진해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도래 전까지 후속 절차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청연도약계좌 더 자세히 알아보기>>